한성 공인중개사 사무소 자세히보기

사진모음/유적,사적,절

묘적사

김 만성 2018. 7. 10. 15:31

"묘적사"

위   치 : 묘적사는 남양주시 와부면 월문리 222번지

탐방일 : 2018년 7월 8일



* 빼어난 경관과 사찰의 어우러짐, 묘적사 *


묘적사는 남양주시 와부면 월문리 222번지 묘적산(妙寂山)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의 말사이다. 흔히 백봉산(柏峰山)이라 불리는 묘적산의 남쪽 골짜기 아늑한 곳에 묘적

사가 있다. 묘적사 골짜기는 협곡으로 개울을 따라 꼬불꼬불 휘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마치 별천지를

찾아 들어가는 느낌이 든다. 또한 골짜기가 길어서 가뭄에도 물이 많고 절 인근에 폭포도 있어 경관

또한 좋은 곳이다. 대웅전 주변의 건물들은 자연스럽게 휘어진 통나무 기둥으로 되어 있고 제법 넓은

못과 잔디밭이 있으며, 오래된 10여 그루의 회양목들은 큰 석종처럼 다듬어 놓은 것도 보기가 좋다.


묘적사에 대한 기록은 뚜렷한 것이 없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여러

문헌들에서 사찰의 존재는 살필 수 있으나, 사적에 대해서는 전혀 기록된 바가 없으며, 단지 절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팔각칠층석탑만이 오래된 세월을 대변해 주고 있다. 그런데 절에서 구전되어 오

는 이야기에 의하면 묘적사는 승병(僧兵)양성 도량이었다고 한다.
주지스님의 말씀에 의하면 묘적사는 본래 국왕 직속의 비밀기구가 있던 곳으로 왕실산하의 비밀요원

을 훈련시키기 위해 절을 짓고, 선발된 인원을 승려로 출가시켜 고도의 군사훈련을 받게 하였다는 것

이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임진왜란 때 집중 공격을 받아 폐허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이 말을 증명

하듯 절에서 동쪽으로 5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활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평탄한 대지가 있고, 이곳

에서는 간혹 화살촉이 발견되곤 한다.
우리나라는 호국불교라는 이념 아래 임진왜란과 병사호란 등 국난 때마다 많은 승려들이 국가 수호의

첨병으로 앞장섰다. 아마도 이 곳 묘적사 역시 승려들이 무예를 갈고 닦는 수련장으로 활용이 되었던

것 같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도 이러한 묘적사의 성격을 이해한 박정희 대통령이 과거와 같은 호국교

육장으로서 복원을 하고자 했으나 대통령의 죽음으로 중지되었다고 한다.

* 묘적사 내 볼거리 *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승방·요사채 2동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관세음보살상을 비롯하여 후불

탱화와 산신·칠성탱화가 모셔져 있다. 유물로는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된 팔각칠층석탑이

유명하다. 이 탑은 월정사팔각구층석탑·수종사(水鐘寺)오층석탑과 양식이 비슷하여 조선 초에 세워

진 것으로 추정된다. 3층과 4층 사이의 체감률이 부자연스럽고 절에서 동쪽으로 30m 가량 되는 곳에

탑재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본래 7층은 아니고 대략 11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

가 창건하였다. 고려 때의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세종 때 학열()이 중창하였고, 1486년(성종

17)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절 이름이 나온다. 일설에 따르면 이 절은 국왕 직속의 비밀

요원들이 군사훈련을 하던 곳으로, 국왕이 필요한 사람을 뽑아 승려로 출가하게 한 뒤 이곳에 머물

게 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유정()이 승군을 훈련하는 장소로 쓰였으며, 임진왜란병자호란

이 끝난 뒤에는 승려들이 무과() 시험을 준비하는 훈련장으로 쓰였다고 한다. 특히 절 앞 동쪽

화살촉이 자주 발굴되어 이곳이 당시 활터였음을 추정하게 한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는 경내에 민간인의 무덤이 들어설 정도로 폐사가 되었다고 한다. 김교헌

()이 쓴 《묘적사산신각창건기》에 따르면, 1895년(고종 32)까지는 폐사로 남아 있었다.

1895년에 규오()가 산신각을 중건하고, 예로부터 전래되어온 산왕신상()을 모셨다.

1969년 화재로 전각이 불에 탔고, 1971년 자신()이 요사채를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승방·요사채 2동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관세음보살상을 비롯하여

후불탱화와 산신·칠성탱화가 모셔져 있다. 유물로는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된 팔각칠층

석탑이 유명하다. 이 탑은 월정사팔각구층석탑·수종사()오층석탑과 양식이 비슷하여 조선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3층과 4층 사이의 체감률이 부자연스럽고 절에서 동쪽으로 30m 

가량 되는 곳에 탑재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본래 7층은 아니고 대략 11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묘적사 [妙寂寺]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