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수사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406, 마이산 에 있는절
○ 탐방일 : 2017년 10월 4일
○ 소재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406
↓ 마이산 탑사를 돌아보고 천왕문 방향을 향해 올라간다.
워낙 많은사람들이 다니는 길이라 평범한 길이다.
300 m 정도 올라왔을까? 커다란 바위산 아래 자리잡은 절이 나타난다.
은수사이다.
은수사는 조선 초기에는 상원사라 했고, 숙종 무렵에는 상원사는 없어지고
사지만 남아 있었는데 그 뒤 누군가 암자를 지어 정명암이라 했다.
은수사 황혜수 주지스님에 의하면 "正"은 5획으로 오행, "明"은 일월이므로 정명암이란
이름은 음양오행의 순환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한다.
아무튼 정명암도 퇴락하여 없어졌다가 1920년에 이주부라는 분에 의해 증창되었고,
이때 은수사로 개칭되었다. 은수사란 이름은 한글학회의 <지명총람>에 의하면,
태조가 이곳의 물을 마시고 물이 은같이 맑다고 하였으므로 지어진것이라 한다.
은수사는 본시 불당 겸 요사채로 쓰인 건물과 그 위 산신도각이 있었을 뿐이었으나 근래
극락전, 태극전,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여 바햐흐로 대가림으로 도약을 기약하고 있다.
이 은수사에는 국내 최대크기였던 법고(1982년 제작)가 소장되어 있다.
한편, 조선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상, 삼신할머니상이 상원사지에서 출토되었다.
또한 은수사 경내에는 천연기념물이 두가지 있다.
하나는 마이산 줄사철군락이고 (천연기념물 380호),
또 하나는 은수사 청실배나무(천연기념물 386호)이다.
춘향전에 보면 이도령이 춘향이 집을 찾아가 첫날밤을 치르기 전,월매가 내온 주안상에
여러 과일이 올라와 있는데, 이 중 ‘청슬이’ ‘청술레’라고 한 과일이 바로 청실배(靑實梨)라 한다.
돌배나무들 중에서 특히, 맛좋은 열매가 달린 나무가 청실배나무.
개량배에 밀려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다.
청실배나무는 이성계가 배를 먹고 뱉은 씨앗이 자라서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청실배나무 아래 약수터에는 정화수를 떠놓은 스탠그릇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다.
이곳에 정화수를 떠놓으면 겨울에는 정화수의 물이 하늘로 올라가면서 얼어붙는
역(逆)고드름이 어는 신기한 현상이 나타난다.
마이산 계곡이 협곡이라 바람이 솟구치면서 일어나는 마이산의 진풍경이기도 하다.
↓ 마이산 타포니지형
은수사 입구 마당 한켠에는 마이산을 향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는데,
마이산을 남족에서 보게되면 봉우리 중턱 급경사면에 움푹움푹
파여있는 크고 작은 굴 들이 있는데, 이것을 타포니 지형이라고 한다.
바위표면에서 일어나는 풍화작용이 일반적이나
마이산은 내부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내부가 팽창되어
밖에있는 바위를 밀어내면서 생기는 것이라고 하며,
세계에서 타포니 지형으로 가장 발달한 곳이라고 한다.
↓ 고려장수이던 이성계가 왕조의 꿈을꾸면서 기도드렸던 장소로
전해지는 은수사는 기도중에 마신 샘물이 은같이 맑아서 은수사 라는
이름이 붙여진 사찰이라고 한다.
↓ 천연기념물 386호 은수사의 청실배나무.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의 변종으로 장미과에 속하며,
잎은 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거칠다.
이곳청실 배나무는 몸통줄기가 도중에 네갈래로 갈라졌다가,
이가운데 두갈래가 다시합쳐지는등 매우 진귀한 모양을 하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서 기도하면서
그증표로 씨앗을 심은것이 오늘의 나무에 이르렀다고 전해진다고 한다.
↓ 은수사 법고
이 은수사에는 국내 최대크기였던 법고(1982년 제작)가 소장되어 있다.
↓ 은수사를 지나 약 10여분간을 오르면 천왕문이며, 천왕문정상에는
금강 과 섬진강의 발원 분수대가 설치되어있다.
이높은 정상에서 어떻게 물이 나오는것일까? 참으로 신기하다.
마이산 탑사와 은수사를 마지막으로 오늘의 여행을 마무리 한다.
추석날이라 버스표도 예약을 못했는데
서울가는 버스나 탈려는지 모르겠다 생각하며, 진안을 거쳐 전주에도착
오후 8시 40분 버스를 타고 서울로 출발, 고속터미널에 도착하니
12시가 넘었다. 이렇게 하루를 마감하며
참으로 오랫만에 즐거운 명절을 보낸거 같으다.
'사진모음 > 유적,사적,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전도비 / 청나라에 항복하고 청태종의 공덕을 기린 굴욕의 비석 (0) | 2018.02.27 |
---|---|
세종대왕릉 / 경기도 여주 가볼만한곳 (0) | 2017.10.09 |
금당사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馬耳山)에 있는 절. (0) | 2017.10.07 |
상원사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용문산(龍門山)에 있는 절. (0) | 2017.07.24 |
대남문 / 북한산성 대남문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