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로스팅(Roasting)의 분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Green Bean(그린 빈) : 생두 초기의 단계. 생두의 색깔은 연녹색에서부터 짙은 초록색
까지 산지별로 다양하다.
둘째, Light Roasting(라이트 로스팅 : 가장 약 배전) : 감미로운 향기가 나지만 이 단계의 원두
를 가지고 커피를 추출하면 쓴맛, 단맛, 깊은 맛은 거의 느낄 수 없다. 생두를 로스터에 투입해
생두가 열을 흡수하면서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초기단계로 이때 생두는 누런색으로 변화
된다.
셋째, Cinnamon Roasting(시나몬 로스팅 : 약 배전) : 뛰어난 신맛을 갖는 원두이며 그 신맛을
즐기고 싶다면 이 단계의 원두가 최적이다. 누런색이던 원두가 계피색을 띠게 된다. 커피 생두
의 외피(Silver skin)가 왕성하게 제거되기 시작한다.
넷째, Midium Roasting(미디엄 로스팅 : 약강배전) : 아메리칸 로스트라고도 한다. 신맛이 주역
인 아메리칸 커피는 이 단계의 원두가 최적이다. 식사 중에 마시는 커피, 추출해서 마실 수 있는
기초 단계이며 원두는 담갈색을 띤다.
다섯째, High Roasting(하이 로스팅 : 중약배전) : 여기서부터 신맛이 엷어지고 단맛이 나기 시
작한다. 가장 일반적인 단계로 갈색의 커피가 된다.
여섯째, City Roasting(시티 로스팅 : 중중배전) : 저먼(German)로스트라고도 한다. 균형 잡힌
강한 느낌을 준다. 맛과 향이 대체로 표준이며 풍부한 갈색을 띠게 된다.
일곱째, Full City Roasting(풀 시티 로스팅 : 중강배전) : 신맛은 거의 없어지고 쓴맛과 진한 맛
이 커피의 맛의 정점에 올라서는 단계이다. 아이스 커피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크림을 가미
하여 마시는 유럽스타일. 원두의 색깔은 짙은 갈색으로 변하여 에스프레소 커피(Espresso
Coffee)용의 표준이다.
여덟째, French Roasting(프렌치 로스팅 : 강배전) : 쓴맛, 진한 맛의 중후한 맛이 강조된다.
기름이 표면에 끼기 시작하는 단계, 원두는 검은 갈색이 된다.
아홉째, Italian Roasting(이탈리안 로스팅 : 최강배전) : 쓴맛과 진한 맛의 최대치에 달한다.
원두에 따라서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예전에는 이 로스팅(Roasting)이 에스프레소
(Espresso)용으로 많이 선호되었으나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로스팅 [Roasting] (와인&커피 용어해설, 2009., 백산출판사)
'취미 > 커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떼아트 (0) | 2017.01.17 |
---|---|
바리스타 실기시험, 5분,10분과정 동영상 (0) | 2016.12.15 |
커피학개론 동영상(정봉수) / 유투브 (0) | 2016.11.03 |
카페오레 (0) | 2016.11.03 |
커피 종류 알고 마시자 (0) | 2016.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