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내수부양 경쟁…"소비 못살리면 더큰 위기 온다" | |||||||||
세계는 지금 내수부양 경쟁 한국 9월 소비재판매 2%↓ 美와 비슷 지갑 닫을수록 경기침체 더 깊어져 | |||||||||
◆내수를 살려야 경제가 산다 (上)◆
내수경기의 버팀목인 소비가 예상을 뛰어넘는 침체국면으로 접어들면서 한국이 일정한 시차를 두고 선진국의 내수 붕괴 국면을 답습할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 경제를 먹여살려왔던 수출전선에 이상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수경기의 과도한 침체는 자칫 고용대란, 자산가격 급락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총생산(GDP)의 61.3%(2007년 기준)를 차지하는 수출이 부진에 빠지게 되면 그 빈자리는 GDP 대비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비 등 내수경기가 채워줄 수밖에 없다. 50%대 소비 비중은 일본(2006년 기준 57%) ,독일(58.4%)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민간소비를 가늠할 수 있는 각종 지표들은 최근 들어 급격한 속도로 추락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양대 축인 수출과 내수가 동시에 주저앉으면 성장잠재력 자체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20% 안팎을 유지했던 신용카드 국내승인액(전년 동월 대비)은 11월 전반기 11.0%로 뚝 떨어졌고, 국산자동차 내수판매량도 같은 기간 11.3% 급락했다. 또 소비재 판매는 9월 -2.0%의 증가율을 기록해 2005년 1월(-3.3%)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10월 사상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미국 소매판매 증가율(-2.8%)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심리 냉각과 각종 속보지표 등을 감안할 때 내년 이후에도 상황 개선을 기대할 만한 요인이 없다"고 말했다. '내수발 경기후퇴' 가능성은 더 이상 선진국만의 얘기가 아니다.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현재 거의 모든 경제예측기관은 한국 내수시장의 장기침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세계 각국은 내수경기의 불씨를 지켜내기 위한 생존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동원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수단을 끌어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중국 일본 유럽 국가들은 금리 인하 외에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등을 통해 GDP의 2~4%에 해당하는 재원을 내수경기 진작에 투입할 계획이다. 심지어 중국은 오는 2010년까지 무려 GDP의 15~20%에 해당하는 800조원을 쏟아붓는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한국도 총 33조원 규모 감세 및 재정지출 확대를 통해 GDP의 3.5~3.7% 수준을 경기진작에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무너져내리는 내수경기를 받쳐주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보다 획기적인 내수진작책으로 선제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창양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금융위기라고 해서 금융정책만 쏟아내는데 내년 봄 이후부터는 내수 부문이 크게 어려워질 것"이라며 "지금 선제적인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재정지출 추가 확대와 함께 △지방경기와 고용시장에 '훈기'를 불어넣어줄 수 있는 실질적인 건설경기 부양대책 △접대비실명제 50만원 한도 등 실효성 없는 규제에 대한 완화 △임시ㆍ일용직 퇴출을 부추기는 비정규직보호법 대폭 손질 등의 조치가 한시 바삐 이뤄져야한다는 지적이다. [특별취재팀 = 이진우 팀장 / 김대영 기자 / 최승진 기자 /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동산정보 >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뺀지와 철조망" (0) | 2008.12.26 |
---|---|
<동해안 양미리떼 어디로 숨었나> (0) | 2008.11.26 |
이왕표, '야수' 밥샙에 암바 승 "노장은 죽지 않았다" (0) | 2008.11.13 |
'취업 문' 닫히고, '실업 공포'는 눈앞에 (0) | 2008.11.12 |
이왕표랑 밥샙 기자회견에서 생긴일 (0) | 200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