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4코스 투어 (도심에서 옛 것과 현대를 만나다)
탐방일 : 2015,8,15
↓ 구 서울역사, 사적 제284호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24코스 투어 (구 서울역사)
숭례문(남대문)을 둘러보고 서울역으로 향했다.
가끔식 오는곳인데도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라는 리플릿을들고 찾아보는 서울역은 새로운 느낌이다.
↓ 구 서울역사,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근대건물. 사적 제284호
↓ 구 서울역사
사적 제284호. 지하 1층, 지상 2층의 돌·벽돌 혼합 조적조(組績造) 건물이다.
1922년 6월에 짓기 시작하여 1925년 9월에 준공하였다.
설계는 일본인 츠카모토 야스시[塚本靖]가 하였다고 전한다.
↓ 구 서울역사
건물은 서양에서 18세기 이래 유행하였던 절충주의 양식을 따랐다.제국주의 침략 세력의 상징으로 건립된
건물은 대체로 국적이 없는 절충주의 양식을 보이는데,
서울역사도 일제가 조선과 대륙 침략의 발판으로 세운 건물이므로 절충주의 양식을 갖추었다.
곧 역사는 근대 이후 산업화와 철도의 발달에 의해서 건립되었지만,
옛 건물인 궁전이나 교회 건물의 여러 요소를 변형시킨 모습으로 설계되었다.
↓ 구 서울역사
1층은 르네상스 궁전이나 관청 건물인 팔라초(palazzo)에서 보이는 모습처럼 면을 거칠게 다듬는
수법[rustication]으로 화강석을 다듬어 마치 기단(基壇)과 같이 마감하였다.
1층 윗부분과 2층은 붉은 벽돌로 쌓았는데, 각 층을 나누는 분할선과 벽 모서리에는 화강석을 끼워 장식하였다.
건물의 가운데에는 큰 홀을 두었고, 그 앞쪽에는 2층 높이의 큰 현관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입구로 삼았으며,
홀의 좌우에는 2층 높이의 곁채를 연결하고서 다시 2층 건물을 덧붙였다.
현관의 지붕은 둥글게 올린 궁륭(穹窿, vault) 구조인데, 앞면에 낸 큰 창의 가운데에는 입체적으로 만든
제단인 애디큘라(aedicula) 모양의 감실을 만들고서 시계를 달았다. 지붕의 좌우에는 채광창(採光窓)이 툭
솟아오른 탑을 세운 뒤, 그 위에 돔(dome) 모양의 구리판 지붕을 덮었다.
하지만 가운데의 거대한 돔에는 채광창을 두지 않고 비잔틴 양식에서 보이는 기둥인 펜던티브(pendantive)와 돔을
결합시켜 놓았으며, 지붕은 천연 슬레이트와 동판(銅板)으로 처리하였다.
↓ 구 서울역사
공사비는 모두 94만 5,000원이었는데, 경비가 모자라 원래의 설계안을 축소하여 지었다고 전한다.
1982년∼1983년에 내부를 수리하는 보수공사를 진행하면서, 일부분의 모습을 바꾸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역사인 이 건물은 현재 공연이나 전시회를 개최하는 문화복합공간인
‘문화역서울 284’로 사용되고 있다. (학국민족 문화 대 백과사전 발췌)
↓ 구 서울역사
↓ 구 서울역사
↓ 구 서울역사
↓ 구 서울역사
↓ 구 서울역사
↓ 왈우 강우규 의사상, 구 서울역사 광장 우측에는 왈우 강우규 의사의 동상이 서있다.
-강우규(姜宇奎)는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로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 암살을 시도했습니다.
-자 찬구(燦九), 호 왈우(曰愚). 1859년 6월 2일 평안남도 덕천군(德川郡) 무릉면 제남리에서 태어났다.
30세 때 함경남도 홍원(洪原)으로 이사하여, 한의술로 환자를 치료하면서 그리스도교에 입교하여 장로가 되었고,
학교를 설립하여 청년들에게 신학문을 가르쳤다. 1910년 국권피탈 후 만주로 건너가 지린성[吉林省]
라오허현[饒河縣]에 정착하여 신흥촌(新興村)을 건설하고 광동중학을 세워 교육사업에 진력하였다.
조국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박은식(朴殷植)·김치보(金致寶) 등과 상의하여 조국에 돌아가 거사(擧事)할 것을 자원,
영국제 폭탄을 가지고 서울에 잠입하였다. 제3대 총독으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齊藤實]를 폭살하기로 결심하고,
1919년 9월 2일 남대문역(현재의 서울역)에서 사이토의 마차에 폭탄을 던졌으나 총독을 암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무라다 육군소장, 혼마치 경찰서장 등 핵심인물들이 중경상을 입었다.
강우규는 뜻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일본군과 경찰들에게 공포심과 암살에 대한 두려움을 심어줬다.
폭탄 투척 후 피신하던 중 일제 경찰에 복무한 김태석에게 체포되어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형무소(구서울구치소)에서 사형을 당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로 사용되고 있으며, 찾아간 날은 휴관중이어서 내부관람은 할수가 없었다.
↓ 현 서울역
↓ 현 서울역
↓ 현 서울역
↓ 서울역 주변의 빌딩들,,,, 서울의 변천사를 말해주는듯하다.
↓ 서울역 고가차도.
구 서울역사를 돌아보고 서울역고가도로를 사진에 담아봤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역 고가도로를 공원화 하는 "7017프로젝트"를 발표해 많은 논란이 되고있는곳이다.
어쩌면 내가찍는 차도로서의 마지막 사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몇장올려 기록으로 남겨본다.
이렇게 서울역과 서울역 고가도로를 돌아 남대문 시장을 들어서니 해는서쪽하늘로 향해 사라지고,
남대문 시장에는 전기불이 켜지면서 시장을 환희 비추고, 여기저기서 물건파는이들의 호객 소리가 들린다.
구 서울역사 (문화역 서울 284) 관람을 못해서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하며 지하철 역으로 발길을 옮긴다.
'등산&여행 사진 > 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5코스,삼전도비 (과거여행) /2015,8,16 (0) | 2015.09.04 |
---|---|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12코스, (골목) /2015,8,16 (0) | 2015.09.04 |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2코스, 숭례문 (한양도성) / 2015,8,15 (0) | 2015.08.18 |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1코스 근정전 (고궁) / 2015,8,15 (0) | 2015.08.18 |
2015 서울지하철 스템프투어 3코스 (3.1운동) / 2015,8,15 (0) | 201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