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 공인중개사 사무소 자세히보기

등산&여행 사진/등산,여행

서울 역사박물관 / 2015,7,19

김 만성 2015. 7. 24. 13:16

서울 역사박물관

탐방일 : 2015년 7월 19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홈페이지 : http://www.museum.seoul.kr/www/NR_index.do?sso=ok


↓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있는 전차


서울 역사박물관은 조선시대부터 현제에 이르기 까지의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절리하여 보여주는 서울 도시역사박물관 입니다. (개관 , 2002,5,21)


찾아오시는길 (지하철이용시)

서울역사박물관 찾아오시는길 지하철 노선 안내 [5호선 광화문역]
- 6번 출구 : 광화문역 6번 출구로 나와 서대문 방향으로 약 470m를 직진한 후 LG광화문빌딩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 7번 출구 : 광화문역 7번 출구로 나와 서대문 방향으로 약 480m를 직진하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 8번 출구 : 광화문역 8번 출구로 나와 광화문 반대방향으로 230m 직진 후 우회전하여 약 150m 직진후 구 구세군건물 앞에서 우회전 하여 약 100m 직진하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5회선 서대문역]
- 4번 출구 : 서대문역 4번 출구로 나와 광화문 방향으로 약470m 직진(강북삼성병원, 경찰박물관 경유)하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3호선 경북궁역]
- 7번 출구 : 경북궁역 7번 출구로 나와 서울지방경찰청 방향으로 약 690m 직진 후 구 구세군건물 앞에서 우회전하여 약 100m 직진하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1호선 시청역]
- 1, 2, 3번 출구 : 시청역에서 1, 2, 3번 출구로 나와 광화문 방향으로 약 430m 직진 후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약 500m 직진 후 LG광화문 빌딩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1호선 시청역에서는 3번 출구로 나오는 것이 가장 거리가 짧음
[2호선 시청역]- 12번 출구 : 시청역 12번 출구에서 나와 광화문 방향으로 약 660m 직진 후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약 500m 직진 후 LG 광화문 빌딩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음.

지하철 노선 안내

안내문의

  • 주      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 전화번호 : 02-724-0274~6(안내데스크) 
  • 휴관안내 : 매년 1월1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에는 1층 편의시설 개방)

도시 서울의 역사를 담은 세계에서 유일한 박물관으로

- 상설전시장, 기획전시실, 기증유물전시실, 교육실, 강당, 뮤지업샵이 있으며

- 전통문화체험교실, 올망졸망놀이교실 등 대상별 맞춤 교육프로그램과

- 음악회등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관람시간

관람시간
구분3월~10월11월~2월
평일09:00~20:00 09:00~20:00
토·일·공휴일09:00~19:00 09:00~18:00

※ 기획전시의 관람시간은 전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휴관일

1월 1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에는 1층 편의시설(학습실, 서울역사자료실, 로비전시관, 강당, 식당, 카페테리아) 개방 (2015.1.1. 시행)
 ※ 월요일이「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제2조에 따른 공휴일일 때에는 휴관하지 아니함  

관람료

  • 무료

↓ 서울역사박물관 건물














↓ 1층 한켠에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전시물이 전시되고 있었고,

    정신대 위안부 소녀상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 2층전시실











*서울의 도시 역사를 체험하며 배울수있는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전시장 전시물들


↓ 철거 광화문 주요 부재

   광화문은 1395년 (태조4년) 경복궁 정문으로 세워진 후 몇 차례의 소실과 이동을 겪어

   석축만 남았다가 1968년에 이르러 석축을 수리한다음 문루는 콘크리트로 복원하여 2006년까지

   경복궁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야외 전시장에 전시된 광화문 철거 부재는 2006년 12월에

   해체된 콘크리트 문루의 부재일부를 보존처리하여 전시한것이다.



↓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부재

   조선총독부 건물은 일제 잔재의 청산과 민족정기 회복을 위해 지난 1996년에 철거를 완료하였다.

   현재 전시된 유물은  독립기념관에 보관중이던 기둥부재인  주신,주두, 주좌, 그리고 중앙대홀 계단

   부재인 법수석을 2012년 2월 인수하여 전시한 것이다.


↓ 수선전도 분수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수선전도" 중간본을 확대한 지도이다. "수선"은 "서울"의 별칭으로

   "수선전도"는 서울전역을 그린 지도이다. 첫"수선전도"는  1824년에서 1834년 사이에

   김정호가 실측해 제작한 것이다.


↓ 운현궁에서 기증한 석물

   운현궁 일가의 묘소에 있던 석물이다. 석물은 "은신군신도비"를 비롯하여 "은신군묘표", "흔친왕신도비",

   "이문용묘길", "이우신도비", "이종묘길", 그외에 장명등과 망주석 등이 있다.


↓ 문인석

   능 이나 무덤 앞에 세우는 문관 형상의 석물


↓ 종루 주춧돌

   종루는 1413년 (태종13년) 종로 네거리에 세워졌다. 1440년(세종22년) 에 개조하여 동서5칸, 남북 4칸의

   규모를 갖춘후 몇차례의 이동및 화재와 중건이 있었으며, 1895년(고종32년) 이후 보신각 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제 전시된유물은 1972년 지하철 공사도중 발견된 종루 주춧돌 11점으로 그 크기로보아 조선 전기의

   유물로 추정된다.


↓ 흥선대원군의 조부 은신군의 신도비 등

   사도세자의 넷째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조부인 은신군 이진(1755~1771) 의 신도비


↓ 전차 381호 (등록문화재 제467호)

   1930년대 "일본차량제조주식회사" 에서 제작한 전차로 1968년 11월까지 약 38년간 서울 시내를

   운행한 전차이다. 어린이 대공원에 보관되어 있던 전차를 2007년 12월에 옮겨와 제작도면과

   과학적 분석 결과를 근거로 복원하였으며, 2010년 8월 24일 등록문화재 제467호로 지정되었다.


↓ 마포구 현석동 출토비석

   2013년 8월에 서울시 마포구 현석동에서 발굴된 비석


↓ 종로 시정행랑 유구

   2004년 종로1가 일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시전행랑 유구이다. 조선시대의 시전행랑 구조와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데 매우큰 가치가 있으며, 문헌사료에 보이는 종로시전과 시전행랑에 대한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시전행랑이란 오늘날 시장의 상가 점포와 같은곳을 말함)


↓ 창경궁. 종묘 육교 난간석

   창경궁과 종묘를 연결하였던 육교의 부재


↓ 흥선대원군의 아들 흥친왕 신도비

   흥선대원군의 장남이자 고종의 형인 흥친왕 이재면(1845~1912)의 신도비


↓ 흥선대원군의 손자  영선군,이우의 신도비등

   흥선대원군의 손자이자 장손인 영선군 이준용(1870~1917)과 흥선대원군의 종손인

   이우 (1912~1945)의 신도비.


↓ 향로석

   무덤앞에 향로를 올려놓는데 사용하는 석물


↓ 장영등과 망주석

   무덤에 불을 밝혀 사악한 기운을 쫓는 등인 장명등과 무덤앞에 양쪽에 세우는

   돌기둥인 망주석



↓ 오층석탑

   고려시대에 제작된 석탑으로 이전 시기에 비해 하층 기단에 새겨진 안상무늬와 층수는 늘고

   옥개석 받침수는 줄었다. 수평을 이루는 옥개서 처마등을 통해 통일신라 석탑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알수있다. 현재 전시된 석탑은 결실된 부분과 손상된 부위를 보존처리하여 전시된것이다.


↓ 경희궁지





울역사박물관을 둘러보고 서울역사박물관 뒤편에 있는 경희궁을 찾았으나,

경희궁은 문이 잠겨있어서 관람을 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렸다,

다음 기회를 약속하면서,

오늘도 이만하면 보람있는 하루가 아니었나 생각하며 전철역으로 향한다,,, 즐거운 마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