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 지리산 종주를 하려면 '별'을 따야?
KBS최준혁입력2014.09.17 12:19
'산악 대피소'라고 하면 뭐가 떠오르십니까. 폭우, 폭설, 강풍과 같은 천재지변이 가장 먼저 생각나지 않습니까?
전 그랬습니다. 적어도 '국립공원 산악 대피소'에 대한 취재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말입니다. 전해드리고 싶은 얘기에
앞서 국립공원 산악 대피소에 대해 설명이 조금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국립공원에 있는 산악 대피소는 '대피'의 개념과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정말 천재지변이 일어난다면 등산객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대피하는 곳이 되겠지만, 평소엔 일종의 숙박시설이 됩니다. 산에 숙박시설이 왜 필요하냐고
물으신다면, 산과 친하지 않으신 겁니다. 이틀에서 사흘씩 걸리는 '종주'를 즐기는 산악인들에게는 당연한 얘기니까요.
산에서 그냥 야영을 하면 안 될까요? 네, 안 됩니다. 자연보호와 등산객 안전 확보 등을 이유로 대피소 밖 야영, 이른
바 '비박'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대피소를 예약하지 않고서 마냥 산에 올랐다면 '다시 내려가라'는 소리를
들어야만 합니다. 종주를 하려면 원하든 원치 않든 대피소를 이용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가운데 이렇게 '묵을 수 있는' 대피소를 운영하는 곳은 3곳입니다.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는 모
두 12개의 대피소가 등산객들을 맞이합니다. 그런데 이 대피소라는 곳이 아무나 다 이용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열두
곳의 대피소가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등산객은 천 명이 채 안 되는데, 종주를 원하는 사람은 훨씬 많기 때문이죠.
산악 대피소를 이용하려면 최고 100대 1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 '예약 전쟁'을 치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하늘에 별 따기'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닌 모양입니다.
이 별을 쉽게 따는 법이 있긴 합니다. 바로 '산악회'와 함께 종주에 나서는 겁니다. 일반인도 대피소 예약이 쉽지 않은
데, 산악회라고 별수 있을까 싶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았습니다. '예약 경쟁'이 공정하지 않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취재진이 국립공원 관리공단에 요청해 8월 한 달간의 예약자 현황을 뽑아봤습니다. 정확하게는 예약에 성공한 사람들
의 휴대전화 번호 목록을 살펴봤습니다. 예약자는 예약에 성공했다는 문자메시지를 받기 위해 반드시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게 돼 있는데요. 1인당 한 달에 4번으로 예약이 제한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 운영이 됐다면, 같은 전화번호는
4번 이상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예약자 현황을 살펴보니, 수십 개씩 겹치는 번호가 여럿 발견됐습니다. 원칙대로 운영이 되지 않았다는 얘깁니다.
이 번호로 이른바 '구글링'을 해봤더니, '△△산악회', '☆☆산우회', '□□산악회'의 대표번호로 나옵니다. 이들 산악회의
대표 번호로만 예약된 건수가 적게는 19건에서 많게는 69건까지 됐습니다. 한 번 예약할 때 4명의 몫까지 예약할 수 있
으니 적게는 수십 자리에서 많게는 수백 자리의 대피소를 '과점'하고 있었던 겁니다. 이들 산악회는 이런 방식으로 인기
가 많은 날, 인기가 많은 대피소의 자리를 최고 40% 넘게 선점하고 있었습니다.
한 번 성공하기도 어려운 예약을 어떻게 이렇게 마구잡이로 해낼 수 있었을까요? 이들 산악회에 전화를 걸어 물어봤지만,
자신들은 떳떳하다는 말 이외에는 별다른 답변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다만, 이들이 일반인들과 다른 방법을 쓴다는 건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특정 산악회가 열 건 안팎의 예약을 10초 안팎에 성공했다는 게 실마립니다. 정해진 시간에 정해
진 방법으로 컴퓨터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쓴 걸로 추정되는데,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실제로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이 모이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산악 대피소 예약 프로그램을 수정해달라는 내
용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절대 불법이 아니라는 말과 함께 말입니다.
그렇다면, 산악회가 이렇게 대피소를 편법 선점하는 이유는 뭘까요? 이들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니, 답이
나옵니다. 미리 선점해 둔 대피소 자리를 이용해 '유료 산행 일정'을 만들고 여행 상품처럼 팔고 있었던 겁니다. 1무
1박 3일부터 2박 3일까지 종주 기간은 물론, 출발 날짜도 평일과 주말, 휴일 등 다양하게 구성된 '상품'이 대피소 예약
에 실패한 사람들을 유혹합니다. "산을 잘 아는 사람이 동행하고, 전세버스도 대신 마련해 주니, 상부상조"라는 게 산
악회 관계자의 말입니다.
가격은 어떨까요? 이들 산악회는 전세버스 이용료와 대피소 숙박료, 모포 대여료를 더해 9만 원에서 12만 5천 원의
돈을 받고 있었습니다. 대피소의 하루 이용료는 8천 원, 시외버스 이용료는 왕복 5~6만 원 선입니다. 대충 계산해
봐도 몇 만 원이 남습니다. 비싸다, 비싸지 않다 하는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산악회의 이런 편법, 제재할 수 없을까요? 안타깝지만, 불법이 아니라 막을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이들이 프로그램
을 쓰든, 이를 여행상품처럼 팔든, 뭔가 불공정한 건 확실한데, 강제로 못하게 할 수는 없다는 겁니다. 산악 대피소를
관리하는 국립공원 관리공단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지만, 현명한 대안을 아직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1인당 예약횟
수를 제한하고, 여름 성수기에 추첨제를 도입한 건 궁여지책이었지만, 편법의 뿌리를 뽑기엔 부족한 것도 사실입니다.
보도가 나간 뒤 새로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국립공원 관리공단이 다가올 가을 성수기에도 추첨제를 확대 적용하기로
한 겁니다. 일면 반가운 소식입니다. 대피소 예약을 입맛대로 해온 특정 산악회에겐 그렇지 않겠지요. 아마도 "특정 산악
회의 대피소 선점을 조금 더 불편하게 해 조금이라도 편법 선점을 줄이겠다"는 관리공단 관계자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조금 더 공정한 결과가 나오게 될까요? 지켜봐야 할 일입니다.
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0917121908688&RIGHT_HOT=R6
.
'취미 > 등산·여행·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악사고 ①] 국내 최초 산악사고 지도…우리 동네 산은? (0) | 2014.11.18 |
---|---|
당신의 10월을 위해 엄선한 가을 축제 10곳 (0) | 2014.10.02 |
가을산행으로 건강 망치지 않으려면 '체온' 어떻게 지키나 (0) | 2014.09.13 |
[장주영 기자의 느낌 아는 여행] 놓치고 싶지 않은 2014 가을, 추천 여행지 10選 (0) | 2014.09.04 |
[스크랩] `스위스의 낭만을 그대로`…철도 체험 테마파크 내달 개장 (0) | 201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