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연립주택에 월세가 몰리는 이유는?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국내 월세가구는 단독·연립주택 거주 비중이 높고 소득과 재무건전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감정원은
'월세시장 분석과 정책방향' 보고서에서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는 저소득층과 1~2인 가구가 각각 69.9%, 58%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월세주택은 방 1·2개(73%) 규모와 단독·연립주택(65%) 비중이 높고 아파트 비중(27.5%)은 낮은 수준이다. 또 최저주거수준 미달 주택이
47%로 절대적 주거빈곤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월세가격이 6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월세이율은 연 9.84%로 이자율(2.6%)보다 높은 수
준이다.
평균 투자수익률은 주택(4.6%)이 주식(-4.2%)보다 높고 안정적이며, 상업용 부동산(오피스 5.4%·매장용 5.3%)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
다. 9월 말 기준 전국 평균 월세보증금과 월세액은 2094만원과 44만원(무보증부월세로 전환시 평균 완전월세액은 60만원)으로 조사됐다
. 연간 주거비용은 예금금리 기준으로 전세(370만원)가 월세(951만원)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정 연구위원은 "저금리 기조와 매매가격 안정세가 유지되면 임대인의 월세전환 선호로 월세가격은 계속 하락할 것이나, 전세가격 상
승세가 지속하면 월세수요 증가, 월세가격 하락 등으로 월세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정원은 월세제도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로 ▷모기지보험 등 임대시장 선진화 ▷서민의 주거안정화(임대료 보증제도·주택바우처제도
확대) ▷민간 임대사업 지원(주택임대관리업 제도 추진) ▷월세시장 통계 구축(신규통계 개발·월세지수 확대) 등을 제시했다.
jumpcut@heraldcorp.com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출처 :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MD20131021074804744.daum
'부동산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달도 못버티고.. 부동산대책 약발 다했나 (0) | 2013.10.24 |
---|---|
정쟁에 발목잡힌 '8.28대책'.. 아파트 실수요자 '부글부글' (0) | 2013.10.21 |
1%대 공유형 모기지, 판매 1시간만에 마감 (0) | 2013.10.01 |
가을 이사철 전·월세 계약시 꼭 알아야할 7가지 (0) | 2013.09.28 |
서울 집값 높다하되.. 강남 3구 전세금 아래 (0) | 201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