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 공인중개사 사무소 자세히보기

부동산정보/오늘의 뉴스

‘스모킹 건’ 공개→‘중어뢰 타격’ 시뮬레이션→“北 소행” 결론

김 만성 2010. 5. 19. 22:05

‘스모킹 건’ 공개→‘중어뢰 타격’ 시뮬레이션→“北 소행” 결론

세계일보 | 입력 2010.05.19 19:41 | 수정 2010.05.19 20:07

 

 

'어뢰 프로펠러·화약흔적·합금 파편' 증거 제시
조사 참여 외국전문가들 배석… 객관성·신뢰 높여

민군 합동조사단은 20일 조사결과 발표에서 한 달여 동안 확보한 물증과 조사 자료들을 대거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조사 결과의 객관성을 높여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기 위해 토마스 에클스 해군준장 등 미국 조사단 15명과 영국, 호주, 스웨덴, 캐나다에서 온 외국 전문가들까지 배석시킬 방침이다. 천안함을 공격한 장본인이 북한임을 알리기 위해 그야말로 총력전을 편다는 얘기다.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북한 어뢰의 것과 유사한 재질의 파편이 발견된 사실을 최초로 보도한 본지 5월13일자(왼쪽)와 고농축 폭발성분인 HMX가 검출됐다는 소식을 전한 본지 5월14일자 신문.

국방부 관계자는 19일 "조사결과 발표는 민간인 단장인 윤덕용 KAIST 총장이 분과별 조사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뒤 기자들로부터 일문일답을 받는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분과별 세부설명은 ▲과학수사 ▲선체 구조·관리 ▲폭발 유형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어 정보·작전 분석에서 '북한 소행'이라고 최종 결론을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합조단의 조사결과 발표에는 지난 15일 건져올린 상당한 크기의 어뢰 프로펠러를 비롯해 다양한 금속 파편과 7년 전 수거한 북 훈련용 어뢰와의 비교 분석 자료, 화약흔 검사 및 시뮬레이션 결과 등이 영상자료와 함께 공개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방부 조사본부를 주축으로 미국 조사단 7명이 참여한 과학수사팀은 사진·영상·통신·사이버 분석과 사체 검안 및 신원 확인을 담당했다. 북한 잠수함의 출몰과 함대사령부 간 통신 등을 면밀히 분석해 북 잠수함(정)이 어떻게 백령도 인근까지 와서 어뢰를 발사할 수 있었는지도 판단했다.

과학수사팀이 분석한 자료는 미군 정보자산인 군사위성과 U-2정찰기 등으로 수집한 사진과 영상, 그리고 한국군 정보부대의 감청자료와 사이버 통신내역 등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과학수사팀은 7년 전 수거한 북 훈련용 어뢰와 최근 찾아낸 어뢰 프로펠러 파편 비교에서 드러난 증거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두 금속 재질 성분이 비슷하며, 천안함 등에서 검출된 RDX, HMX 등 화약 성분과 북한 어뢰의 화약이 동일하다는 분석결과도 제시될 예정이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시뮬레이션하는 선체 구조·관리팀은 천안함 함미와 함수의 절단면을 3D 입체영상으로 촬영, 무기 체계별 수중폭발을 재연해 유형을 찾아왔다. 이 팀은 시뮬레이션 결과, 어뢰가 가장 유사한 손상 형태를 가져왔으며 250㎏ 안팎의 탄두 중량을 가진 음향추적 중어뢰가 천안함 가스터빈실 아래 3m 지점에서 수중 폭발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뒤늦게 캐나다 전문가 3명이 합류해 눈길을 끈 정보·작전분석팀은 해저 장애물과 유형별 적 도발 가능성을 파악했는데 각종 정보와 과학수사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북한 소행'으로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점쳐진다. 여기에는 수거된 어뢰 프로펠러에 찍힌 북한 글씨체의 '일련번호'가 결정적인 작용을 했다는 분석이다.

정보·작전분석팀은 또 북한 잠수정의 기습 공격에 의해 천안함이 침몰했다고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쪽 공해를 이용한 우회공격으로 알려진 가운데 상어급(325t)과 유고급(85t) 잠수정 중 어떤 결론을 내릴지도 주목된다.

박병진·나기천 기자 worldpk@segye.com